반응형

아이가 또래보다 말을 늦게 하거나 반응이 느릴 때, 부모 입장에선 "혹시 자폐인가?" 걱정부터 앞서게 됩니다. 하지만 모든 발달지연이 자폐는 아니며, 분명한 구분 기준이 존재합니다.
📌 목차
🔍 발달지연과 자폐의 핵심 차이
발달지연은 말 그대로 아이의 언어, 운동, 인지 능력이 평균보다 느리게 나타나는 상태입니다.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는 발달뿐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, 의사소통, 반복 행동 등 뇌 기능 전반에 차이가 있는 신경발달장애입니다.
구분 | 발달지연 | 자폐 |
---|---|---|
눈맞춤 | 잘함 | 회피하거나 거의 없음 |
감정 반응 | 표정 및 미소로 표현 가능 | 감정 교환이 적거나 없음 |
언어 | 늦지만 점차 따라감 | 반복어 사용, 의사소통 어려움 |
놀이 | 다른 아이와 상호작용 가능 | 혼자 반복 놀이, 고정된 관심사 |
📅 월령별 체크포인트
- 6개월: 눈맞춤 적고 웃지 않음
- 12개월: 이름 불러도 반응 없음, 손짓 부족
- 18개월: 단어 사용 없음, 사회적 놀이 관심 없음
- 24개월: 짧은 문장 불가, 반복 행동 빈번
👩👦 부모가 먼저 할 수 있는 행동
혹시라도 자폐가 의심된다면, 조기 평가가 매우 중요합니다. 다음을 꼭 실천해 보세요.
- 소아정신과 또는 발달센터 상담 예약
- 언어발달검사, 사회성평가 등 조기 진단
- 발달재활바우처 및 치료 지원제도 활용
✔ TIP. 모든 발달지연이 자폐는 아닙니다. 눈맞춤, 상호작용, 감정공유 여부가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.
🙋 자주 묻는 질문
Q. 자폐도 언어치료로 좋아질 수 있나요?
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는다면 언어 능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치료 접근 방식은 개인 맞춤형이어야 합니다.
Q. 사회성이 부족한 것도 자폐인가요?
사회성 부족은 자폐의 한 증상일 수 있으나, 진단은 종합적인 행동 평가가 필요합니다.
📌 함께 보면 좋은 글
※ 이 글은 의료 정보 제공용이며,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진행되어야 합니다.
#발달지연 #자폐증상 #자폐와발달지연차이 #소아정신과 #언어발달지연 #육아정보 #부모팁 #티스토리수익형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