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청년수당 신청기간, 조건, 방법, 지급일은?
6개월간 월 50만 원, 서울 청년이라면 꼭 확인하세요!
📌 서울시 청년수당이란?
서울시가 만 19~34세 미취업 청년에게 매달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활동지원금을 지급하고,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까지 제공하는 청년 지원 정책입니다.
📅 2025 추가 모집 일정
모집 내용 | 일정 |
---|---|
신청기간 | 2025년 6월 10일(월) 오전 10시 ~ 6월 12일(수) 오후 4시 |
모집인원 | 총 7,000명 |
선정 발표 | 2025년 7월 초 예정 |
첫 지급일 | 2025년 7월 말 예정 |
✅ 신청 자격 조건
- 서울시 주민등록 보유자 (신청일 기준)
- 만 19세 ~ 34세 (1990.6.11 ~ 2006.6.10 출생자)
- 최종학력 졸업 후 미취업자 또는 단기근로 중인 자
-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가구원 수 | 기준 건강보험료 (직장가입자) |
---|---|
1인 가구 | 약 128,000원 이하 |
2인 가구 | 약 214,000원 이하 |
3인 가구 | 약 275,000원 이하 |
※ 재학생 및 휴학생은 제외 대상이며, 주 30시간 미만 단기근로자는 신청 가능
📝 신청 방법 (모바일/PC 공통)
- 청년몽땅정보통 접속
-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
- ‘청년수당’ 신청 메뉴 선택
-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작성 및 건강보험 납부자료 제출
💡TIP: 신청 첫날 오전에 몰릴 수 있으니 빠르게 접속해서 완료하세요!
💳 지급일 및 지급 방식
- 첫 지급: 2025년 7월 말 예정
- 지급 금액: 매월 50만 원
- 총 지원 기간: 최대 6개월 (총 300만 원)
- 지급 방식: 서울페이(선불카드) 형태로 지급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대학 재학생인데 신청할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청년수당은 졸업한 미취업 청년만 신청 가능합니다.
Q. 아르바이트 중인데 가능할까요?
A. 가능합니다. 주 30시간 미만 단기근로자라면 신청 가능하며,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Q. 가족과 따로 살고 있는데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A. 건강보험 부양자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독립세대가 아니면 부모 기준으로 산정돼요.
📌 요약 정리
항목 | 내용 |
---|---|
신청기간 | 2025.6.10(월) 10시 ~ 6.12(수) 16시 |
지원금 | 월 50만 원, 최대 6개월간 |
자격 | 서울 거주, 미취업, 졸업자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 |
신청처 | 청년몽땅정보통 |
첫 지급일 | 2025년 7월 말 예정 |
※ 본 포스트는 서울시 공식 발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반응형